쉘 환경변수의 종류
1. 지역 환경 변수 (쉘 변수)
2. 전역 환경 변수 (환경 변수)
예약 되어 있는 환경 변수
변수 기호
$PATH 실행 파일을 찾을 경로
$HOME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경로
$LANG 쉘에서 사용하는 언어
$SHELL 로그인시 사용하는 쉘
$PS1 프롬프트
$HISTSIZE 하스토리 파일에 저장되는 명령어 개수
$HISTFILE 히스토리 파일 경로
$HOSTNAME 호스트의 이름
변수 값 확인
#echo [변수명]
#echo $PATH
/usr/local/sbin:/usr/local/bin:/sbin:/bin:/usr/sbin:/usr/bin:/root/bin
지역 환경 변수
- 현재 사용하는 쉘에서만 적용되는 변수
변수 선언 및 초기화
변수명=값 (주의사항* 변수명 =값 x -공백x)
#A=10 o
#A= 10 x
- 변수 해제(불필요)
#unset 변수명
EX) #unset A
변수가 해제되어 출력결과가 없는것을 확인 할수있다 로그아웃후 다시 명령어 실행해보니 잘나오는것을 확인
-변수확인
#set
전역 환경 변수
-모든 쉘에 적용되는 변수
-변수 선언 및 초기화
#export 변수명=값
-변수 해제
#unset 변수명
-변수확인
#env
지역 환경 변수 테스트
#LOCAL=test //지역변수 LOCAL에 test 대입
#set //지역변수 확인
#set | grep LOCAL //지역변수 LOCAL 선언 확인
#/bin/bash //bash 서브 쉘 실행
#exit //상위 쉘로 이동(logout)
#echo $LOCAL //지역 변수 LOCAL 값 확인
#/bin/bash //서브 쉘 실행
#echo $LOCAL // LOCAL 변수 출력->출력 값x
#exit
#unset LOCAL //지역변수 LOCAL해제
#set | grep LOCAL //지역변수 LOCAL해제 확인
전역 환경 변수 테스트
#export GLOBAL=test1 //export명령어- 환경변수를 지정,변경 현재 정의 되어 있는 환경변수를 보여주는 명령
로그아웃 전 까지만 유효
#echo $GLOBAL
#set | grep GLOBAL=#env | grep GLOBAL //set 변수확인
#/bin/bash
#echo $GLOBAL //출력결과 확인
#GLOBAL=test2 //지역환경 변수
#echo $GLOBAL
#exit
#echo $GLOBAL //test1
exit 후 다시 원상복귀
#echo $TMOUT //세션유지시간
#TMOUT //10초간 응답 없으면 자동 세션 해제
#TMOUT= //무제한
10초간 응답이 없어서 자동 로그아웃 된것을 알수있다.
사용자 환경을 구성하는 초기화 파일
/etc/profile //환경변수와 bash가 동작시 사용되는 프로그램제어하는
전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
/etc/profile.d ///etc/profile/ 파일에 의해서 /etc/profile/d 디렉토리
내에 스크립트가 실행이되며 여러가지 변수들이 동작하며
쉘 환경제공
/etc/bashrc //사용자가 로그인하였을때 사용자 계정에 있는 .bashrc파일
에 의해서 실행이되며,전체 사용자에게 적용할 alias 및 쉘
환경 변수값을 설정하는 파일
~/.bash_profile //환경변수와 bash가 동작시 사용되는 프로그램제어하는
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
~/.bashrc //~/.bash_profile에 의해서 실행되며 .bashrc파일은 다시
/etc/bashrc을 실행 해여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적용할
alias정보가 있다
Logout시 실행되는 파일의 순서
/etc/profile -> /etc/profile.d/*
~/.bash_profle
~./bashrc
/etc/bashrc
#cd~
#ls
vi ~/.bashrc
#alias c='clear' 후 다른세션 연결 command not found
.bash_logout
echo "bye"
#exit
bye
vmware에서 실행시 빠르게 사라짐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shell/ 사용자계정 명령어2 (0) | 2017.04.07 |
---|---|
xshell/ 사용자계정 명령어 (0) | 2017.04.05 |
Linux- vi (0) | 2017.04.01 |
xshell/ 리다이렉션 (0) | 2017.04.01 |
xshell/ 디렉토리 명령어3 (0) | 2017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