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mv(move)-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(이름변경)
#mv [file1] [file2] ... [file?] [Directory]// 여러파일 이동

 

-f 파일 이동시 대상 경로에 파일이 있다면 물어보지 않고 덮어쓴다

 

 

/촤상위 폴더를 만든곳에 mv 로 파일을 보낸후 ls 확인

 

#rm (Remove) - 파일 삭제
#rm [option] [target]

 

-f (force) 삭제 시 물어보지 않고 삭제
-r, -R (recursive)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을 포함 삭제
-i (interactive)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(기본값)

 

 

rm -rf 사용하지않아서 질의가 생기는걸 볼수있다.


#cat(conCATnate) -파일 내용 확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#cat [option] [file]

-n(number) 라인 번호를 포함하여 출력

내용 옆에 숫자가 출력


-b(blank) 라인 번호 출력, 공백은 제외

공백은 사라지고 다음 내용부터 숫자 출력  

 

ex)#cat /etc/resolv.conf //  /etc/resolv.conf 파일의 내용 확인

 

#touch - 파일의 시간정보 변경
-t [timestamp]

 

timestamp 형식 : [[CC]YY]MMDDhhmm[.ss]

      CCYY   MM   DD   hh   mm
ex) 2017년 03월 25일 13시 50분

 

빈 파일 생성 (크기가 0kb)

#touch [file]

 

 

file 2~5 가 생긴걸 알수있다.


#stat[파일명] - 파일의 자세한 정보 확인
ex) #stat file2

 

빈파일 인걸 알수 있다.

 

#date- 시스템 시간 확인 / 수정
-s "CCYY-MM-DD hh:mm:ss"

 

-s 옵션을 사용해 날짜 시간이 변경된걸 알수있다.

 

server-  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서비스 를 제공하는쪽
클라이언트- 서비스를 받는쪽

 


#file - 파일의 형식을 확인
#file [파일명]

 

ex) #file /bin/ls     //실행파일
    #file /etc/passwd    //텍스트 파일 
    #file /root          //디렉토리

 

file 명령은 다음 순서에 다라 파일 종류를 판별합니다.


디바이스, 디렉토리, 심볼릭 링크

압축 파일 체크

tar 파일 체크

magic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따른 체크

ASCII, Unicode 등 텍스트 파일 종류 체크


위에 해당되지 안으면 바이너리로 판단 합니다.

 

바이너리? -0과 1, 즉 2진수로 이루어진 파일을 의미한다

 

#which - 실행파일 및 alias 확인
#which [파일명]

 

ex)#which cp
     #which date
     #which ls

 

어느 명령어가 alias 되어있는지 확인가능

 

#more - 화면 단위로 파일 내용 출력 (#less)
#more [option] [file]
+[N] 출력을 시작할 행 번호

 

more -1 로 설정하면 한줄씩 알수있다.

 

space bar - 다음 화면 출력
enter key - 한줄 씩 스크롤

ctrl + f - 다음 화면으로 이동
ctrl + b - 이전 화면으로 이동

 

cat 과 more의 차이점

-#cat은 화면내용 출력 #more 페이지 단위로 내용 출력


 

#head - 파일 내용의 첫 10줄만 출력

#head [옵션] [파일]
 - [번호] 처음부터 [번호]

 

 

head -3 으로 설정하면 3줄씩 출력되는걸 알수있다.

 

#tail - 파일 내용의 마지막 10줄 출력
tail [옵션] [파일]

-[번호] 마지막 부터 [번호]만큼 출력

 

-f  실시간으로 파일의 내용확인

ex) tail -3 /etc/passwd  //마지막부터 3줄만

 

마지막 3줄이 출력된걸 알수있다.


#tail -f /var/log/secure         //현재 원격 접속을 시도한 (로그인)내용을 실시간 확인 세션 추가하면서 파일 내용 변경 확인

 

서버 접속할때마다 로그인 접속시간이 추가된다.

 

cp를 하면서 디렉토리를 생성할수 없을까?

[명령어1] ; [명령어2]
ex)#cp a b; mkdir test_dir
    #ls ; pwd

 

명령어 [파일] ; 명령어 [파일] 동시 실행이 가능하다

 

#grep(Globally find Regular-Expression and Print)
-문자열 검색

 

grep [옵션] [패턴] [파일]

 

-i 대소문자 구별x
-n 행번호 함께 출력
-v 패턴에 일치 하지 않는 행만 출력(제외 용도)
-w 패턴이 전체 단어와 일치하는 행만 출력

 

 

 

ex) 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에서 'a'을 찾아라.

#grep -n 'a'*

 

grep 공부(http://egloos.zum.com/slgi97/v/10947881)
 

간단한 파일 생성

 

 

메타 문자 종류 중에 *와일드 카드 문자를 이용하여 현재경로
에 있는 abc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확인

 

맞는 결과

abc:abc
abc1:abcc
abc2:abccc

 

#wc (word count) 파일의 문자 ,라인, 단어 수 출력
-c 문자 수
-l 라인 수
-w 단어 수
-L 가장 긴 문장의 길이 출력

 

ex) #wc /etc/resolv.conf
      라인 단어 문자     //라단문
         3     4    39

 

#cut - 화면에 출력되는 필드 잘라내기
#cut [옵션] [파일]

 

- c 잘라낼 글자 위치를 지정
-  f 잘라낼 필드를 지정
- d 잘라낼 필드를 구분하는 문자 (구분자) 지정 (기본값 tab)

 

ex) cut -d ":" -f 1 /etc/passwd

 

맨 앞 단어만 출력된걸 알수있다.

 

링크파일 - 파일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파일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     기존에 있는 파일에 새로운 파일명을 붙이는 것

 

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  개념 잡기(http://sunnmoon.egloos.com/v/1858692)

 

1. 심볼릭 링크

#ln -s [대상파일명] [링크파일명]


-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

-inode 가 대상과 다르다.

-새로운 파일은 이름만 존재할뿐 내용은 아무것도 없다 원본이 삭제되면 무용지물

 

2. 하드 링크

#ln [대상파일명] [링크파일명]

 

- inode 가 대상과 같다.
- 기존 파일에 새로운 파일의 이름 추가로 생성
- 원본 파일 수정 시 하드링크도 함께 수정됨 !
- 파일 복사와 차이는 하드디스크에 공간을 차지 하지 않음

- 원본을 지워도 새로운 파일의 내용은 그대로다.

 

inode?- 자료구조 이며 디렉토리등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.

          - 실제 data와 이름을 연결해 주는것

 

 

허가권이 같은 하드 링크 / 링크의 수 2 2 1 다르다는 것을 알수있다.

 

하드 링크와 cp 랑 뭐가 다를까?

cp는 10메가인 원본 A파일을 B라는 이름으로 복사하면 10메가 10메가 이렇게 20메가의 용량을 차지하게 된다.

하드 링크는 10메가인 원본 A파일을 B라는 이름으로 복사하면 두파일이 차지하는 용량은 10메가다.

 

 
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 - snapshot 기능  (0) 2017.03.29
xshell/ 디렉토리 실습2  (0) 2017.03.29
xshell/ 디렉토리 실습1  (0) 2017.03.19
xshell/ 디렉토리 명령어1  (0) 2017.03.19
xshell/ 기본 명령어  (0) 2017.03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