★숫자형

복소수.real=실수 부분 리턴

복소수.imag=허수 부분 리턴

복소수.conjugate()=켤레복소수 리턴

 

켤레 복소수? 부호를 바꾼 복소수

 

abs(복소수)=절댓값 리턴

 

★문자열 자료형

문자열(string)- 문자 단어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

  -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으면 모두 문자열

-큰따옴표(")

-작은따옴표(')

-큰따옴표 연속3개(""")

-작은따옴표 연속3개(''')

 

문자열 안에 포함

-작은 따옴표 포함시 큰따옴표로,큰따옴표 포함시 작은따옴표로 묶어주고 백슬래시(\n)를 이동해 둘다

포함 시킬수 있다.

 

여러 줄인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

줄바꾸기(\n)

print( ) 에 변수를 넣어야 정확한 값이 나온다.

 

연속된 작은 따옴표 3개 (''')또는 큰 따옴표(""")이용

''' 사용은 공백 한칸씩 띄어주는 것 확인

 

★문자열 연산하기

문자열 더해서 연결하기

문자열 곱하기

 

★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

인덱싱(indexing):무엇인가를 '가리킨다'

 

슬라이싱(slicing):무엇인가를 '잘라낸다'

>>> a[0] + a[1:6] + a[6: ]
'I love python'

 

실습) 'pithon'이라는 문자열을 'python'으로 바꾸기

슬라이싱으로 완성 시켜야 된다.

 

★문자열 포매팅(Formatting)

문자열 내의 특정한 값을 바꿔야 할 경우 사용. 문자열내에 어떤 값을 삽입 하는 방법

 

2개이상 값넣기

 

★문자열 포맷 코드

 

★포맷 코드와 숫자 함께 사용하기

정렬과 공백

"%10s" : 전체 길이가 10 인 공간에서 오른쪽 정렬

"%-10s" : 전체 길이가 10 인 공간에서 왼쪽 정렬

소수점 표현하기

 

★문자열 관련 함수들

1.문자 개수 세기(count)

 

2.위치 알려주기(find)

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

존재하지 않는다면 -1을 반환

 

3.위치 알려주기(index)

존재 하지 않는다면 오류 발생

 

4.문자열 삽입(join)

5.대문자로 변환(upper)

6.소문자로 변환(lower)

7.왼쪽 공백 지우기(lstrip)

 

8.오른쪽 공백 지우기(rstrip)

9.양쪽 공백 지우기(strip)

10.문자열 나누기(split)

 

11.문자열 바꾸기(replace)

 

★실습

1. 주민번호가 849213-2014242 일때 생년원일과 그뒤 숫자 부분을 나누어 출력하라

2. 홍길동(881322-1023232)을 성명, 주민번호로 구성되는 리스트를 만들고

성별을 체크하여 추가해 출력하라.

 

3. [1,2,3,4]라는 리스트를 [4,3,2,1]로 변경해라

'Python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ython-딕셔너리,집합(자료형)  (0) 2017.05.30
Python-리스트,튜플(자료형)  (0) 2017.05.29
Python-연산자,변수,자료형,git  (0) 2017.05.21
Python-환경구성 맛보기  (0) 2017.05.20
뇌를자극) 수 텍스트와 비트1  (0) 2017.03.1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