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HCP서버 (Server-A)
DHCP Client (Server-B, Client-Linux, Client-win)
★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-IP 주소와 각종 TCP/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각 클라이언트 에게 동적으로 제공하는 프로토콜
-IP 주소 설정, 중복 방지, Gateway, Subnetmask, DNS서버 주소등을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통신을
하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해 준다.
-한정된 IP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, 클라이언트 들의 IP관리가 수월해진다.
-IP주소 풀에서 클라이언트들에게 IP주소 임대(Lease)해주며,IPv4,v6지원을 한다.
Gateway 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(인터넷 등)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거점을 의미한다. 자동차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톨게이트(tollgate)와 유사한 개념이다.
서브넷 마스크 - 호스트 이름으로부터의 IP 주소지에 대한 네트워크의 이름을 규정하는 것으로 32비트의 크기로 만들어 졌다.
컴퓨터가 30대 -> IP주소 20개
<<각 클라이언트들의 IP주소를 동적으로 할당 후,정적(고정/static)IP 설정>>
★DHCP 서버(Server-A)
yum -y install dhcp* //패키지 설치
vi /etc/dhcp/dhcpd.conf //주 설정 파일 수정
subnet 100.100.100.0 netmask 255.255.255.0 { //dhcp를 적용할 네트워크 범위지정
range 100.100.100.10 100.100.100.20; //IP 풀(IP임대 범위)
option routers 100.100.100.2; //Client 에게 적용할 게이트 웨이 주소
option broadcast-address 100.100.100.255; //Client 에게 적용할 브로드케스트 주소
option subnet-mask 255.255.255.0; //Client 에게 할당할 서브넷 마스크 주소
option domain-name-servers 100.100.100.110, 100.100.100.120; //Client에게 할당할 DNS주소
default-lease-time 7200; //기본 임대 시간
max-lease-time 14400; //최대 임대 시간 - 클라이언트가 기본임대시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
최대로 임대 할 수 있는 시간
}
service dhcpd restart //dhcp 데몬 기동
/var/lib/dhcpd/dhcp.leases //IP임대 기록이 저장되는 파일
Server-B,Client-Linux
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bond0 //수정
service network restart //Client-Linux.Server-B
xshell 네트워크 끈킴
vm 에서 ifconfig명령어 이용하여 ip주소확인
할당받은 ip는 range 즉 ip주소 풀내에서 할당 받아야한다
★(100.100.100.10~100.100.100.20)
Server-B
Client-Linux
Client-Win (DHCP Client)
고정 IP설정을 동적IP설정으로 변경
★Server-A (DHCP Server)
service dhcpd start //dhcpd 데몬 chkconfig 등록
chkconfig dhcpd on
★Server-B,Client-Linux,Client-Win (DHCP Client)IP 주소 확인
LinuxOS Windows
ifconfig ipconfig /renew
eth0,bond0 로컬 영역 연결
★고정 정적 Static IP설정
Server-A (DHCP Server)
cat /var/lib/dhcpd/dhcpd.leases //ip 임대 기록이 저장되는 파일
★MAC 주소 확인 방법
LinuxOS WindowsOS
ifconfig ipconfig
Server-B (MAC)
Clinet-Linux (MAC)
Client-Win (MAC)
★dhcp 주설정 파일에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추가
Server-A
service dhcpd restart 데몬 재기동 후
각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재시작 이후 명시한 ip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
-service network restart
원도우즈 재부팅
server-B Client-Linux xhsell 접속 확인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shell/ NTP (0) | 2017.05.11 |
---|---|
xshell/ FTP, VSFTP (0) | 2017.05.11 |
xshell/ DNS3 (Slave,Master,고급기능) (0) | 2017.05.05 |
xshell/ DNS2 (도메인 설정) (0) | 2017.05.03 |
xshell/ DNS ssh (0) | 2017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