★YUM(Yellowdog udater modifier)


  RPM기반의 패키지 관리도구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한다.
-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 대한 정보가 담긴 저장소(repository)를 가지고 있다
- DVD이미지 혹은,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.

 

yum [옵션] [명령] [패키지명]
 -y
설치 과정에 출력되는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

 -h 도움말 출력
 -v 자세한 메시지 출력
            //-h -v는 잘안쓰임

 

yum info [패키지명]         //패키지 정보 확인


yum list
yum list all             //설치가 되었거나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
yum list update         //업데이트가 가능한 패키지의 목록만 출력
yum list installed     //이미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출력

 

yum list installed [패키지명] == rpm -qa    //해당 패키지 설치유무 확인


yum localinstall [패키지명].rpm          //rpm패키지 설치 ,

 

패키지 설치 하기
-저장소를 검색하고 패키지를 설치할 저장소 찾지를 못하면 자동으로 다른 저장소를 검색하여
패키지를 설치한다.

 

yum install [패키지명] [패키지명] ...

 

yum install autotrace

yum install xterm

패키지 삭제
yum remove [패키지명] [패키지명] ..

 

패키지 검색
yum search [패키지명]

 

yum provides [파일이름] //특정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확인
yum provides /bin/ls

 

yum clean all //기존에 다운로드한 패키지 목록을 지워 설치 시 새로운 목록을 다운로드
설치가 잘 안된파일에 유용


그룹 설치
yum grouplist | more //그룹 설치가 가능한 패키지 목록 확인


LANG=us_US.UTF-8

한글에서 영어로 바뀐거 확인

 

yum groupinstall [패키지 그룹 이름]

 

yum groupinstall "X Window System" "Desktop" "Fonts" "korea

n Support"
더블 커터 중요 하나의 패키지 인식

 

yum 동작 가정과 설정 파일
1. /etc/yum.conf         //yum 설정 파일
2. /etc/yum.repos.d/     //저장소(Repository)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

 

실무에서 저장소라는 단어를 레포 repo

 

(1) Server-A : yum install 입력
(2) Server-A : /etc/yum.repos.d/ 디렉토리에 repo 파일을 열어 URL 확인
(3) Server-A : 패키지 목록 파일을 REPO에 요청
(4) Repo : 패키지 목록을 서버-A 에게 전달
  //설치 패키지 파일을 다운 받는게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 목록만 다운로드
(5) Server-A : 화면에 설치할 패키지와 관련 패키지 이름을 출력
(6) Server-A : Y를 입력하면 설치 하고자하는 패키지 파일을 Repo에 요청
(7) Repo : 설치할 패키지를 전달
(8) Server-A : 다운로드한 패키지를 자동을 설치

ex) yum -y install vim 은 (1)~(8)   

 

cd /etc/yum.repos.d/

vi /etc/CentOS-Base.repo

 

CentOS-Base.repo 파일 안 구성내용

 

[base]  - 저장소 식별자
 - 각 식별자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동작

 

name  - 저장소의 이름
 - 보기 편한 이름으로 지정

 

mirrorlist
 - baseurl 에 설정 값이 생략되어 있으면 대신 동작하는 항목으로 해당 URL은 전세계에
 분포된 여러개의 Repository와 연결되어 있다.

 

#baseurl - repo url  적혀있으며 ftp주소,file 경로 등이 올 수 있다.
#은 주석

 

gpgcheck - 패키지 GPG서명을 확인할지 여부를 1(사용),0(사용안함)으로 지정

 - 1로 지정할 경우 gpgkey 항목을 반드시 설정 해야한다.

 

gpgkey - 아스키 GPG키가 들어있는 저장소의 URL이 적혀 있어야 한다.

- 사용할 서버의 공개키 경로를 설정한다.

 

enabled - 저장소를 사용할지 여부 1(사용),0(사용안함)을 지정

-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1

 

GPG - GPG(Gny Privacy Guard)서명은 rpm 패키지 인증시 암호화된 서명을 사용하는 방법.

 - 잘못된 패키지가 설치되는 일을 방지한다

 

repository를 DVD이미지로 변경
cd /mnt/
ls  //cd 마운트확인
cd /etc/yum.repos.d 경로
mkdir backup
mv *.repo backup
touch dvd.repo //새로운 repo 파일 생성

 

vi dvd.repo
[dongh-dvd]
name=CentOS DVD REPO
baseurl=file:///mnt/ //네트워크 주소가 아니라 DVD 경로 주소
gpgcheck=0

 

gpgcheck=0 //패키지가 안전한건지

 

네트워크 차단
ifdown eth0

 

vmware에서 설치
yum clean all
yum -y install mysql-connector-odbc
yum -y install php

 

DVD이미지에서 직접 다운받기 때문에 패키지를 외부에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이 없어 설치 속도가
빠르다.

 

vi /etc/yum.repos.d/dvd.repo
[dongh-dvd]
name=CentOS DVD REPO
baseurl=file:///mnt/
gpgcheck=0
[extras]
name=network
baseurl=http://ftp.daumkakao.com/centos/6.8/extras/x86_64
gpgcheck=0

 

ifup eth0
cd /mnt/Packages/epel-release 패키지 유무 확인

 

 yum remove myspl-connector-odbc
 myspl-connector-odbc //로컬 dvd이미지에 있는 패키지 파일
epel-release //외부 레포에 있는 패키지 파일

 

yum -y install mysql-connector-odbc epel-release
설치가능 확인

 

★yum은 인터넷이 되야한다.

http://mirror.centos.org/centos/6/os/x86_64/
-실제 centos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본 base repo 주소

 

★/etc/resolv.conf     //해당 파일에 네임서버 정보가 있어야지만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해석하여

yum이 해당 사이트(미러사이트)에 찾아가 패키지를 받아 올수 있다.

yum 파일 원상복구
cd backup/
mv ./* /etc/yum.repos.d/
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xshell/ ping ip selinux  (0) 2017.04.24
xshell/ Bonding  (0) 2017.04.22
xshell/ RPM  (0) 2017.04.22
xshell/ Find  (0) 2017.04.22
xshell/ 압축 gz bz2 xz  (0) 2017.04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