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sh 공부(http://cafe.naver.com/pipc/14175)

★리눅스 부팅 프로세스

1. Power ON & ROM BIOS
-전원이 들어오면 CPU가 ROM(read only memory)에 저장된 BIOS(basic input output system)실행
-BIOS는 POST(Power On Self Test)을 수행하여 하드웨어 장치들을 하나씩 인식하며 이상 유무 확인
-부팅 장치에서 bootsector에 MBR을 읽어드려 부트로더를 실행

 

리눅스 부트로더 - LILO -> 현재 사용 안함
  GRUB(부트로더) ->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부트로더

 

2. 부트로더 (GRUB)실행   reboot후 vm .3.2.1 엔터

 

-부팅메뉴 선택 (/boot/grub/grub.conf) 실행, 부팅하고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
-커널 이미지(/boot/vmlinuz-*)가 메모리 로딩이 되고, 동작에 필요한 프로세스를  생성한다.

 

3.init 프로세스 실행 (PID=1)


- /etc/inittab 파일을 참고하여 설정된 Runlevel 실행
- 부팅 레벨이 결정되면 /etc/rc.d/rc.sysinit 스크립트 실행
 (PATH 변수 설정, 네트워크 설정, 스왑메모리, 호스트 등등)
-해당 런레벨에 맞는 /etc/rc.d/rc#.d/* 디렉토리에 스크립트가 실행
/etc/rc.d/rc0.d/*
/etc/rc.d/rc1.d/*
/etc/rc.d/rc2.d/*
......
/etc/rc.d/rc6.d/*

 

cd /etc/rc.d/rc3.d

S로 시작하는 파일은 해당 부팅 레벨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 되는 파일
K로 시작하는 파일은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 파일
        숫자 파일들이 실행되는 우선순위

 

RunLevel - 시스템을 어떤 방식으로 부팅할 것인가를 분류해 놓은것

0 - 시스템 종료
1 - 싱글 유저 모드 (안전 모드)
2 - 네트워크 기능이 없는 다중 사용자 모드
3 - 모든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 //런레벨
4 - 사용x
5 - x-window
6 - 시스템 재부팅     //(0~6번 7개 레벨

 

init 0==shutdown -h now==poweroff==halt

init 6==shutdown -r now==reboot

 

★root패스워드 분실 시 (런레벨 1 (싱글 모드))
-timeout 전에 엔터 키 입력후 os선택시 e키를 눌러 파라미터 수정 //파라미터-매개변수


파라미터를 수정할 커널에서 e(edit)키를 눌러 설정값 수정

single 혹은 1 입력

부팅(b) 후 passwd 패스워드 변경

 

reboot root접속

 

★GRUB에 passwd 설정
grub > md5crypt 
password 입력
 $1$TGwYH/$TR0VJsJl6dMP96YGlVdpM1 // md5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결과 복사

 

grub > quit 종료
vi /boot/grub/grub.conf
10번째줄 password --md5 $1$TGwYH/$TR0VJsJl6dMP96YGlVdpM.

 

reboot -> grub 부트로더 메뉴 진입

p를 눌러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편집이 가능하다.!

 

★chkconfig
-데몬의 실행 레벨 정보를 관리 해주는 프로그램

 

chkconfig --list          //데몬 리스트 확인
chkconfig --list [데몬이름]         //chkconfig  --list sshd
chkconfig --[add|del] [데몬이름]
chkconfig --level # [데몬이름] [on|off|reset]

 

런레벨 3에서는 sshd 데몬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
chkconfig --level 3 sshd off
chkconfig  --list sshd
sshd            0:해제 1:해제 2:활성 3:해제 4:활성 5:활성 6:해제

 

reoot 후에 xshell을 이용하여 해당 서버A 접속(ssh)  접속이안됨...

 

service sshd start // vm  sshd 데몬 실행
xshell 접속시도  //접속 가능

 

service [데몬 이름] [start|stop|status|restart]

 

★시스템 초기화및 관리 프로세스 순서!!!!!!!!!!!!!!! 시험
-과거 system V init 방식으로 시스템 초기화 (init -> inittab -> rc.sysinit)
★-현재 system V init + Upstart 방식을 함께 사용(init -> rcS.conf -> rc.conf -> rc.local)
-미래 systemd
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xshell/ Find  (0) 2017.04.22
xshell/ 압축 gz bz2 xz  (0) 2017.04.19
xshell/ LVM  (0) 2017.04.18
xshell/ 쿼터(quota)  (0) 2017.04.18
xshell/ 파일시스템 RAID  (0) 2017.04.16

+ Recent posts